[파이썬기초] 함수, 메서드
1. 함수 개념 I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코드(들의 모임) 함수이름(인자) 형태로 사용 개념 II 내장 함수 : 형식에 맞춰서 편리하게 사용 개념 III max(), min() - 시퀀스의 최댓값, 최솟값을 구하는 함수 print(max([1, 2, 3])) #3 print(min([-1, -2, -3])) #-3 개념 IV sum(), len()- 시퀀스의 합과 길이를 구하는 함수 odds = [1, 3, 5, 7, 9, 11] print(sum(odds)) #36 print(len(odds)) #6 개념 V def 키워드 : 함수를 정의할 때 사용 def function_name(): .... 개념 VI 매개변수 : 함수 외부에서 내부로 값을 전달할 때 사용되는 변수 함수를 정의할 때 괄호 안에 써주..
2022. 5. 6.
[파이썬기초] 시퀀스, Tuple(튜플), Dictionary(사전형)
1. 시퀀스 활용하기 개념 I list.pop(i) : 인덱스 i의 원소를 제거 후 반환 lst = [1, 2, 3, 4, 5] box = lst.pop(0) # lst에서 1을 제거 후 반환, 이 경우에는 변수 box에 대입 print(lst) # [2, 3, 4, 5] print(box) # 1 개념 II seq.count(d) : 시퀀스 내부의 자료 d의 개수를 반환 carrot = "Hi Rabbit!" print(carrot.count("i")) ## 실행 결과 ## 2 개념 III str.split(c) : 문자열 c를 기준으로 문자열 str을 쪼개서 리스트를 반환 ours = "나,너,우리" print(ours.split(",")) # ['나', '너', '우리'] 개념 IV str.join..
2022. 5. 6.
[파이썬기초] 리스트
1. 리스트 활용 개념 I list.append(d) : 자료 d를 list의 마지막 원소 뒤에 추가 alphabet = ['A', 'B', 'C'] alphabet.append('D') print(alphabet) ## 출력 결과 ## ['A', 'B', 'C', 'D'] 개념 II list.insert(i, d) : 인덱스 i에 자료 d를 삽입 num_eng = ["one", "two", "four", "five"] num_eng.insert(2, "three") print(num_eng) ## 출력 결과 ## ["one", "two", "three", "four", "five"] 개념 III list.remove(d) : 인덱스 0부터 조회하여 처음 나오는 자료 d를 제거 ice_cream = ["..
2022. 5. 6.